해드림출판사

건설현장 안전감시자 실무 핸드북 > 전체신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고객센터
상담시간 : 오전 09:00 ~ 오후: 05:3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02.2612-5552
FAX:02.2688.5568

b3fd9ab59d168c7d4b7f2025f8741ecc_1583542148_9783.jpg 


작성일 : 2023-01-11 10:52
  • 건설현장 안전감시자 실무 핸드북
  • 김재관, 윤여송
  • 해드림출판사
  • 2023년 01월 13일
  • 신국판
  • 979-11-5634-530-5
  • 25,000원

본문

신호수·유도원·화재감시자·유도원

4개 분야의 전문교재

우수한 현장 안전감시자 양성

 

 

건설현장 안전감시자 실무 핸드북건설공사 현장 최일선에서 활동 중인 신호수·유도원·화재감시자·밀폐감시자(이하 현장 안전감시자)의 전문성이 요구됨에 따라 원활한 현장 안전감시체계 구축,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현장 안전감시자 인증제도 도입을 통해 현장 안전감시자 전문교육 및 실무능력 배양으로 산업재해 예방에 이바지하고자 출간한 책이다.

 

문명의 발달 및 고도화로 인간의 눈높이는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나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에 대한 눈높이는 높아지지 못하고 일정 수준에서 계속 정체되어 있다.

저자가 25년 넘게 몸담아온 발전 경상정비 및 건설 현장에서는 안전에 대한 의식 수준이 낮고 수동적인 안전 문화가 만연되어 있다.

건설공사의 복잡성과 복합공정으로 인해 안전사고 방지 및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신호수유도원화기 감시자·유도원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고 중요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서도 현장에 배치하도록 명시되어 있으나 현실은 무경험의 실무능력이 빈약한 근로자들을 현장에 배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호수·유도원·화재감시자·유도원에 대한 전문교재 부재로 교육환경 조성이 시급한 상황에서 건설현장 안전감시자 실무 핸드북을 발간함으로써, 이 교재를 신호수·유도원·화재감시자·유도원 4개 분야의 전문교재로 활용하면 우수한 현장 안전감시자가 양성되어 건설 현장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신호수·유도원·화재감시자·유도원 분야에서 근무하는 현장 안전감시자들의 실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머리말 4

 

1장 일반개요

1. 목적 및 필요성········· 19

2. 산업재해 현황········· 19

. 산업별 사망재해 비교표······· 19

. (건설업)발생형태 별 분류········· 20

. 건설용 기계 사고 현황 ······· 22

. 재해 발생형태의 정의와 분류기준 ······· 23

1) 재해 발생형태의 정의····· 23

2) 재해 발생형태의 분류기준···· 25

 

2장 분야별 안전교육

1. 신호수············ 32

. 교육의 목적 ··········· 32

. 신호수 개요 ········ 32

1) 정의 ·········· 32

2) 신호수 배치작업··········· 32

. 신호수의 역할 ············ 33

1) 당일 작업 상황 파악········· 33

2) 지정된 복장 착용·········· 34

3) 무전기 점검사항················· 34

. 표준신호 규정············· 36

1) 신호의 종류·········· 36

2) 수기의 색깔·········· 36

3) 신호의 내용 ········· 36

4) 신호방법 ·········· 36

5) 크레인 작업 표준 신호·········· 37

. 크레인 작업 시 주의사항 ············· 44

1) 타워크레인·········· 44

2) 이동식 크레인 ············· 49

. 크레인의 종류 및 특징······· 52

1) 타워크레인··········· 52

2) 이동식 크레인··········· 61

. 줄걸이 안전작업··········· 67

1) 양중도구 점검······· 67

2) 안전 보조로프 점검 ··········· 68

3) 와이어로프 및 슬링벨트 폐기기준·········· 69

4) 줄걸이작업 중 준수사항 ············ 74

5) 작업 종료 시 안전수칙········ 79

. 사고사례 ············ 81

2. 유도원··········· 88

. 교육의 목적 ············· 88

. 유도원 개요············· 88

1) 정의 ············· 88

2) 유도원 배치작업 ··········· 88

. 유도원 역할········· 89

1) 유도원의 역할 및 권한·········· 89

. 유도원 신호 위치 ·············· 92

1) 덤프트럭/레미콘 믹서 트럭········ 92

2) 지게차(포크리프트) ··········· 93

3) 굴착기············ 99

4) 고소작업대·············· 112

. 사고사례··········· 136

3. 화재감시자 ··········· 144

. 교육의 목적········· 144

1) 화재폭발 사고 현황············ 144

2) 화재·폭발 사고 기인물과 장소·········· 144

. 화재감시자 개요 ··········· 145

1) 정의··········· 145

2) 화재감시자 배치 및 제외 대상·········· 145

. 화재감시자 자격 및 지정 ··········· 146

1) 화재감시자 업무 ·········· 146

2) 화재감시자 자격··········· 146

3) 화재감시자 지정··········· 146

4) 화재감시자 소통 ············· 146

. 화재감시자 역할··········· 146

1) 용접·용단 작업 전 ············· 146

2) 용접·용단 작업 중············· 148

3) 용접·용단 작업 후 ············ 149

4) 화재감시자 배치 위치············· 149

. 화재의 발생 개요········· 150

1) 화재의 원인············· 150

2) 연소········· 150

3) 연소의 3요소········ 150

4) 불완전 연소의 원인 ··········· 151

. 폭발 및 폭굉 ·········· 151

1) 폭발 ·········· 151

2) 폭굉 ·············· 152

. 용접·용단 작업의 위험················ 152

1) 용어의 정의·········· 152

2) 비산 불티의 특성········ 153

3) 화재 발생 메카니즘 ············ 153

. 화재위험작업 시의 준수사항 ··········· 154

1) 근로자 작업 전 점검사항·············· 154

2) 통풍 및 환기 미흡 장소에서 화재위험작업 ·········· 155

3) 가연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서의 화재위험작업 ········· 155

4) 용접·용단 기구 사용 작업장 준수사항 ·········· 158

5) 폴리 우레탄폼 개요 및 작업 시 주의사항 ········· 159

. 대피 및 소방시설 ·············· 164

1) 소방시설 정의 ············ 164

2) 화재의 종류 및 적용 소화제 ·········· 164

3) 옥내소화전 ············ 166

4) 초기 화재 진압요령 사항··········· 168

5) 화재 발생 시 올바른 대피방법·········· 169

. 사고사례 ············ 171

4. 밀폐감시자·········· 178

. 교육의 목적··········· 178

1) 2010~2019년 밀폐공간 질식재해 현황·········· 178

. 밀폐감시자 개요············· 178

1) 정의············· 178

2) 밀폐감시자 배치작업·············· 179

. 밀폐감시자 역할··········· 180

1) 작업 전 밀폐감시자 역할 ··········· 180

2) 작업 중 밀폐감시자 역할 ··········· 181

3) 작업 후 밀폐감시자 역할··········· 182

. 밀폐공간 작업 전 확인 사항············ 182

1)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 여부 확인········· 182

. 밀폐공간과 질식 ·········· 184

1) 밀폐공간 개요·········· 184

2) 질식 개요·············· 185

3) 산소결핍 및 유해가스가 발생 이유·········· 186

4) 밀폐공간에서의 건강장해 ··········· 189

5) 유해가스 농도와 인체 영향 ··········· 189

6) 보호장구············ 191

7) 교육·훈련 ············· 193

. 유해 공기 농도 측정·············· 194

1) 유해 공기 판정기준·············· 194

2) 유해 공기 측정 사유 ············· 194

3) 측정장소 ··············· 195

4) 밀폐공간에서의 환기··············· 196

5) 가스농도 측정 방법················· 198

. 밀폐공간 작업 절차서·············· 200

1) 업무 흐름도··········· 200

2) 밀폐공간 작업 세부 내용············ 200

3) 응급비상 시 조치사항 ············ 218

. 사고사례 ············ 226

 

3장 기타 안전자료

1. 교육분야 ··············· 230

.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 230

1) 목적 ············ 230

2) 용어정의 ·············· 230

3) 행정해석 ················ 231

4) 교육과정별 비교··············· 231

5) (벌칙) 과태료 ·············· 232

6) 교육과정별 교육내용 ············· 233

. 직무교육········· 249

1) 목적 ··············· 249

2) 교육과정별 비교 ············· 249

3) (벌칙) 과태료··············· 250

.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 251

1) 목적·············· 251

2) 교육과정별 비교 ············ 251

3) (벌칙) 과태료 ·············· 251

.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안전·보건교육········· 252

1) 목적·········· 252

2) 교육과정별 비교 ········· 252

3)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253

4) (벌칙) 과태료 ·············· 253

2. 벌칙규정 ········ 254

. 산업안전보건법 ··········· 254

. 벌칙 ········· 255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 256

3. 과태료 부과기준············ 258

. 안전표지·········· 258

1) 위반행위 및 과태료 ·········· 258

2) 안전보건 표지 종류··········· 259

. 근로자 안전조치 ·············· 260

1) 위반행위 및 과태료·············· 260

. 유해위험 방지계획서 ············· 263

1) 위반행위 및 과태료············ 263

. 타워크레인·········· 264

1) 위반행위 및 과태료 ············ 264

. <

김재관

1971년 충청남도 태안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기계설계를 전공하였고 발전공기업 입사 후 방송통신대학교 법학 전공 및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원에서 안전환경공학을 전공하고 있다.

1996년 입사 이후부터 현재까지 공사관리 감독 업무 및 현장안전 관리자 활동을 통해 10건의 발명특허 보유와 벤처기업부장관상,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오랜 현장 안전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쓴 건설현장 안전감시자 실무 핸드북은 지도교수인 윤여송 교수와 공동 집필한 첫 책이다. 건설 현장에서 활동 중인 신호수·유도원·화재감시자·유도 원의 실무능력 미흡에 따른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바 본 교재를 통한 현장 실무에 적용 및 교육을 통해 실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윤여송

1961년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나 대전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안전공학을 전공하고 삼성전기()에서 오랫동안 안전환경그룹장으로 재직하였으며, 특히 산업안전보건분야 공적을 인정받아 정부 산업포장, 노동부장관상, 행정안전부장관상, 2010년 안전경영대상개인 공적상, 미국 NCS 수상 등 다양한 상을 수여받았다. 행정안전부 특수재난기획담당관을 거쳐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안전환경공학과 주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35년간 안전보건, 재난안전분야에서 종사하였고, 많은 관련 논문과 서적 집필, 정부 정책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안전분야 이론 서적들과는 달리 일선 사업장(현장)에서 직접 안전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 실무형 서적으로 출판되어 현장 실무자들의 지침서로서 크게 도움이 될 것이며. 우리나라가 산업재해예방과 안전사회 선진국으로 도약하는데 미력하나마 보탬이 되기를 소원해 본다.

 

2) 재해 발생형태의 분류기준

) 기본기준

 

(1) 산업재해가 발생된 형태를 우선적으로 파악·분류하되, 산업재해 발생을 야기한 형태가 상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 경우는 기인된 물체 또는 물질을 확인하고 재해자에게 어떻게 접촉 또는 폭로되었는가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2) 단일 사고로 여러 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여 상해 결과가 재해자별로 상이한 경우에는 사고형태에 의하여 분류한다.

 

) 복합적 현상에 의한 발생형태 분류기준

(1) 1차 원인에 의한 현상이 상해 결과를 유발하기에 적합한 경우에는 1차 원인의 현상을 발생형태로 분류한다.

(2) 1차 원인의 현상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재해자의 상병종류·부위 및 사망·부상 원인 등을 파악·비교하여 상해 결과에 적합한 현상을 판단하여 분류한다.

(3) 사망·부상원인 및 상해 결과 등 직접적 요인 파악이 어려운 경우에는 다음 순서에 의거 분류한다.

() 폭력행위, 폭발, 화재, 전류접촉, 유해·위험물질 접촉 순으로 특정 사고를 우선하여 분류

() 재해 정도를 고려 가장 우선적으로 재해예방대책이 요구되는 현상

() 1차 원인(, 발단이 된 현상)

 

) 분류 시 유의사항

(1) 두 가지 이상의 발생형태가 연쇄적으로 발생된 재해의 경우는 상해 결과 또는 피해를 크게 유발한 형태로 분류한다.

()재 해자가 전도(넘어짐)로 인하여 기계의 동력전달부위 등에 협착(끼임)되어 신체 부위가 절단된 경우에는 협착(끼임)으로 분류한다.

() 재해자가 구조물 상부에서 전도(넘어짐)로 인하여 추락(떨어짐)되어 두개골 골절이 발생한 경우에는 추락(떨어짐)으로 분류한다.

() 재해자가 전도(넘어짐)또는 추락(떨어짐)으로 물에 빠져 익사한 경우에는 유해·위험물질 노출·접촉으로 분류한다.

() 재해자가 전주에서 작업 중 전류접촉(감전)으로 추락(떨어짐)한 경우 상해 결과가 골절인 경우에는 추락(떨어짐)으로 분류하고, 상해 결과가 전기쇼크인 경우에는전류접촉(감전)으로 분류한다.

 

(2) 기계의 구동축, 회전체 등 주요 부위의 파단, 파열 등으로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해를 입힌 물체의 운동 형태에 따라 낙하, 비래등으로 분류한다.

 

(3) 추락(떨어짐)전도(넘어짐)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재 해 당시 바닥면과 신체가 떨어진 상태로 더 낮은 위치로 떨어진 경우에는 추락(떨어짐)으로, 바닥면과 신체가 접해있는 상태에서 더 낮은 위치로 떨어진 경우에는 전도(넘어짐)로 분류한다.

() 신체가 바닥면과 접해있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작업발판 등 구조물의 높이가 보폭(60cm) 이상인 경우에는 신체가 구조물과 바닥면에서 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추락으로 분류하고, 그 보폭 미만인 경우는 전도로 분류한다.

 

(4) 낙하·비래(날아와 맞음), 이상온도 노출·접촉또는 유해·위험물질 노출·접촉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 물체 또는 물질이 낙하 또는 비래되어 타박상 등의 상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낙하·비래(날아와 맞음)로 분류한다.

() ·저온 물체 또는 물질이 낙하·비래되어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이상온도 노출·접촉으로 분류한다.

() 낙하·비래 또는 비산된 물체 또는 물질의 특성에 의하여 상해를 입은 경우에는 유해·위험물질 노출·접촉으로 분류한다.

 

(5) 폭력행위유해·위험물질 노출·접촉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 뱀 등 동물에게 물려 광견병, 독성물질 중독이 발생한 경우에는 발생형태를 유해·위험물질 접촉으로 분류하고, 감염은 없이 찔림 정도의 교상만 발생한 경우에는 폭력행위로 분류한다.

 

(6) 폭발화재의 분류

폭발과 화재, 두 현상이 복합적으로 발생된 경우에는 발생 형태를 폭발로 분류한다.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